도바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바 천황은 1103년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5세에 즉위했다. 시라카와 법황의 섭정을 받으며, 1123년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한 후 인세이를 시작하여 실권을 장악했다. 그는 3대에 걸쳐 28년간 권력을 유지하며, 고노에 천황을 즉위시키는 등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후지와라노 나리코를 총애하며 스토쿠 천황을 멀리한 것이 호겐의 난의 원인이 되었다. 도바 천황은 말년에 법황이 되었으며, 교토의 안라쿠주인에서 붕어하여 도바인으로 추존되었다가 메이지 시대에 도바 천황으로 불리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바 천황 - 다마모노마에
다마모노마에는 일본의 전설에 등장하는 구미호 요괴로, 미모와 지혜로 총애를 받았으나 정체가 드러나 도망친 후 토벌되어 살생석으로 변했으며, 일본 3대 요괴 중 하나로 꼽힌다. - 도바 천황 - 후지와라노 다마코
후지와라노 다마코는 헤이안 시대 도바 천황의 중궁이자 스토쿠 천황과 고시라카와 천황의 생모로, 시라카와 법황의 양녀였으며 다이켄몬인 칭호를 받았고, 정치적 격변 후 출가하여 그녀의 생존과 죽음이 호겐의 난 발발의 배경이 되었다. - 1103년 출생 - 악비
남송 시대 장군 악비는 금나라에 맞선 애국 영웅으로, 진회의 모함으로 처형되었으나 사후 충절을 인정받아 무목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만강홍이라는 시와 함께 현대 중국에서도 존경받는 인물이지만, 최근 그의 군사 행위에 대한 재평가 논의가 있다. - 1103년 출생 - 앙드레 드 몽바르
앙드레 드 몽바르는 부르고뉴 기사 가문 출신으로 템플 기사단 총장으로서 군사적 업적을 통해 기사단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1169년 예루살렘에서 사망했다. - 일본의 불교 군주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불교 장려, 17조 헌법 제정, 수나라 외교 등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했으며, 여러 일화와 지폐 도안으로 유명하지만,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일본의 불교 군주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도바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도바 천황 |
일본어 | 鳥羽天皇 (とばてんのう, Toba-tennō) |
사후 칭호 | 도바인 (鳥羽院) 또는 도바 천황 (鳥羽天皇) |
휘 | 무네히토 (宗仁) |
어린 시절 이름 | (정보 없음) |
별명 | 구가쿠 (空覚) |
재위 기간 | 1107년 8월 9일 – 1123년 2월 25일 |
일본력 재위 기간 | 가쇼 (嘉承) 2년 7월 19일 - 호안 (保安) 4년 1월 28일 |
즉위례 | 1108년 1월 15일 (가쇼 2년 12월 1일) |
대嘗祭 | 1108년 12월 24일 (덴닌 (天仁) 원년 11월 21일) |
시대 | 헤이안 시대 |
연호 | 가쇼 (嘉承) 덴닌 (天仁) 덴에이 (天永) 에이큐 (永久) 겐에이 (元永) 호안 (保安) |
릉묘 | 안락수원릉 |
정치 | |
직위 | 일본 천황 |
즉위 | 1108년 1월 15일 |
선대 천황 | 호리카와 천황 |
후대 천황 | 스토쿠 천황 |
섭정 | 시라카와 상황 (1086년-1129년) |
섭관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1107년–1113년) |
관백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1113년–1121년)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1121년–1123년) |
태정대신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1113년) |
가계 | |
왕조 | 일본 황실 |
아버지 | 호리카와 천황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이시 (시게코) |
배우자 | 후지와라노 야스코 후지와라노 나리코 후지와라노 다마코 |
자녀 | 스토쿠 천황 무네코 내친왕 고시라카와 천황 고노에 천황 요시코 내친왕 (니조) 그 외 |
생애 | |
출생 | 1103년 2월 24일 |
사망 | 1156년 7월 20일 |
사망 장소 | 안락수원 어소 |
장례 | 1156년 7월 20일 (호겐 원년 7월 2일) |
원복 | 1113년 1월 20일 (덴에이 (天永) 4년 1월 1일) |
2. 약력
1103년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생후 7개월 만에 태자가 되었다. 아버지 호리카와 천황이 사망하자 5세에 즉위하였으나, 실권은 할아버지인 시라카와 법황이 인세이를 행하며 쥐고 있었다.[8] 에이큐 5년(1117년) 시라카와 법황의 양녀인 후지와라노 다마코(藤原璋子)가 입궁, 다음 해 중궁이 되었다. 그녀와의 사이에서 5남 2녀를 두었다. 호안 4년(1123년) 1월 28일에 맏아들인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으나,[10] 여전히 실권은 시라카와 법황에게 있었다.
다이지 4년(1129), 시라카와 법황이 사망하자 도바는 인세이를 개시하여 실권을 장악하였다.[9] 이후 스토쿠 천황, 고노에 천황, 고시라카와 천황에 이르기까지 3대 28년에 걸쳐 실권을 장악하였다. 고지 원년(1142년)에 도다이지(東大寺)에서 수계를 받고 법황이 되었다.
- '''1134년''' (초쇼 3년): 도바 상황이 구마노 신사(熊野神社)로 참배했다. 그는 좌대신 하나조노노 아라히토와 우대신 나카노인 무네타다를 동반했다. 이들은 이 여행을 즐겼고, 많은 양의 술을 마셨다.[13]
2. 1. 출생과 즉위
1103년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생후 7개월 만에 태자가 되었다. 어머니 후지와라노 사네코가 일찍 사망하자 할아버지인 시라카와 법황의 손에서 자랐다. 아버지 호리카와 천황이 사망하자 5세에 즉위하였다. 당시 관백인 후지와라 타다자네는 입지가 약해 시라카와 법황의 영향력 아래 있었기에, 즉위 후 정무는 시라카와 법황이 행했다.[8]도바 천황의 즉위 초기 몇 년 동안, 실권은 그의 할아버지인 "상황" 시라카와 천황이 인세이를 통해 가지고 있었다.
에이큐 5년(1117년) 시라카와 법황의 양녀인 후지와라 쇼시(타이켄몬인)가 입궁, 다음 해 중궁이 되었다. 그녀와의 사이에서 5남 2녀를 두었다.
호안 4년(1123년) 1월 23일에 맏아들인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으나,[10] 여전히 실권은 시라카와 법황에게 있었다.
2. 2. 상황(上皇)으로서의 권력
1123년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한 후에도 시라카와 법황이 상황으로서 실권을 쥐고 있었으나,[10] 1129년 시라카와 법황이 사망하면서 도바 상황이 인세이(院政)를 시작하여 실권을 장악하였다.[12]도바 상황은 시라카와 법황과 사이가 소원했던 셋칸케(攝關家)의 후지와라노 다다자네를 복귀시키고 그의 딸 야스코를 황후로 맞이하는 등, 자신의 측근들로 요직을 채웠다.[16] 또한 시라카와 법황의 후원을 잃은 다이켄몬인(待賢門院) 대신 비후쿠몬인(美福門院)을 총애하여 그녀의 소생인 고노에 천황을 즉위시켰다.[17]
1142년 도다이지(東大寺)에서 수계를 받고 법황이 된 후에도[8] 스토쿠 천황, 고노에 천황, 고시라카와 천황 3대에 걸쳐 28년간 실권을 장악하였다. 특히 비후쿠몬인의 영향으로 스토쿠 천황을 싫어하게 되었는데, 이는 훗날 호겐의 난이 발발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2. 3. 3대에 걸친 인세이(院政)
1103년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7개월 만에 태자가 되었다. 어머니 후지와라노 사네코가 일찍 사망하자 할아버지인 시라카와 법황에게 양육되었다. 아버지 호리카와 천황이 사망하자 5세에 즉위하였으나, 실권은 시라카와 법황이 가지고 인세이(院政)를 행했다.[8] 에이큐(永久) 5년(1117년) 시라카와 법황의 양녀인 후지와라노 다마코(藤原璋子)가 입궁, 다음 해 중궁이 되었다. 그녀와의 사이에서 5남 2녀를 두었다. 호안(保安) 4년(1123년) 1월 28일에 맏아들인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으나,[10] 여전히 실권은 시라카와 법황에게 있었다.다이지(大治) 4년(1129), 시라카와 법황이 사망하자 도바는 인세이(院政)를 개시하여 실권을 장악하였다.[9] 법황과 사이가 소원했던 후지와라 셋칸케(攝關家)의 후지와라노 다다자네(藤原忠實)를 귀환시켜 그의 딸 야스코(泰子)를 입궁시키는 등 인(院)의 요직을 자신의 측근으로 채웠다. 시라카와 법황이라는 후원자를 잃은 중궁 다마코(다이켄몬인)에게 등을 돌리고 대신 후지와라노 나리코(藤原得子)를 총애하게 되어 그녀 소생의 황자 나리히토(體仁) 친황(고노에近衛 천황)을 즉위시켰다. 스토쿠 천황, 고노에 천황, 고시라카와 천황에 이르기까지 3대 28년에 걸쳐 실권을 장악하였다. 고지(康治) 원년(1142년)에 도다이지(東大寺)의 가이단인(戒壇院)에서 수계를 받고 법황이 되었다.
나리코의 영향으로 스토쿠 천황을 싫어하게 되어, 사후 호겐의 난이 발발하는 한 원인을 제공하였다.
3. 생애
1103년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생후 7개월 만에 태자가 되었다. 어머니 후지와라노 사네코가 일찍 사망하자 할아버지인 시라카와 법황의 손에서 자랐다. 아버지 호리카와 천황이 사망하자 5세에 즉위하였다. 정무는 시라카와 법황이 행했다.[8] 에이큐(永久) 5년(1117년) 시라카와 법황의 양녀인 후지와라 다마코(藤原璋子)가 입궁, 다음 해 중궁이 되었다. 그녀와의 사이에서 5남 2녀를 두었다. 호안(保安) 4년(1123년) 1월 28일에 맏아들인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으나,[10] 여전히 실권은 시라카와 법황에게 있었다.
다이지(大治) 4년(1129년), 시라카와 법황이 사망하였고 이후 도바는 인세이(院政)를 개시하여 실권을 장악한다. 법황과 사이가 소원했던 셋칸케(攝關家)의 후지와라노 다다자네(藤原忠實)를 귀환시켜 그의 딸 야스코(泰子)를 입궁시키는 등 인(院)의 요직을 자신의 측근으로 채웠으며, 시라카와 법황이라는 후원자를 잃은 중궁 다마코(다이켄몬인)에게 등을 돌리고 대신 후지와라노 나리코(藤原得子)를 총애하게 되어 그녀 소생의 황자 나리히토(體仁) 친황(고노에近衛 천황)을 즉위시켰다. 스토쿠 천황, 고노에 천황, 고시라카와(後白河) 천황에 이르기까지 3대 28년에 걸쳐 실권을 장악하였다. 고지(康治) 원년(1142년)에 도다이지(東大寺)의 가이단인(戒壇院)에서 수계를 받고 법황이 되었다.
나리코의 영향으로 스토쿠 천황을 싫어하게 되어, 사후 호겐의 난이 발발하는 한 원인을 제공하였다.
도바 천황의 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중궁 | 후지와라노 쇼시/다마코(藤原璋子|후지와라노 쇼시/다마코일본어) | 다이켄몬인(待賢門院|다이켄몬인일본어), 후지와라노 기미자네(藤原公実|후지와라노 기미자네일본어)의 장녀 |
제1황자 | 아키히토 친왕(顕仁親王|아키히토 친왕일본어) | 스토쿠 천황 |
제1황녀 | 기시/요시코 내친왕(禧子内親王|기시/요시코 내친왕일본어) | 1122년-1133년 |
제2황자 | 무치히토 친왕(通仁親王|무치히토 친왕일본어) | 1124년-1129년 |
제3황자 | 기미히토 친왕(君仁親王|기미히토 친왕일본어) | 1125년-1143년 |
제2황녀 | 무네코 내친왕 (統子内親王|무네코 내친왕일본어) | 1126년-1189년, 조사이몬인( 上西門院|조사이몬인일본어 ) |
제4황자 | 마사히토 친왕 (雅仁親王|마사히토 친왕일본어) | 1127년-1192년, 고시라카와 천황 |
제5황자 | 무토히토 친왕 (本仁親王|무토히토 친왕일본어) | 1129년-1169년, 출가하여 가쿠쇼 법친왕(覚性法親王|가쿠쇼 법친왕일본어)이 됨. |
제1황후 | 후지와라 다이시/야스코(藤原泰子|후지와라 다이시/야스코일본어) | 가야노인(高陽院|가야노인일본어),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藤原忠実|후지와라노 다다자네일본어 )의 장녀 |
제2황후 | 후지와라노 도쿠시/나리코(藤原得子|후지와라노 도쿠시/나리코일본어) | 비후쿠몬인(美福門院|비후쿠몬인일본어), 후지와라노 나가자네( 藤原長実|후지와라노 나가자네일본어 )의 딸 |
제3황녀 | 에이시/도시코 내친왕(叡子内親王|에이시/도시코 내친왕일본어) | 1135년-1148년 |
제4황녀 | 쇼시/아키코 내친왕(暲子内親王|쇼시/아키코 내친왕일본어) | 1137년-1211년, 하치조인(八條院|하치조인일본어) |
제8황자 | 나리히토 친왕(体仁親王|나리히토 친왕일본어) | 고노에 천황 |
제5황녀 | 슈시/요시코 내친왕 (姝子内親王|슈시/요시코 내친왕일본어) | 니조 천황의 중궁, 다카마쓰인(高松院|다카마쓰인일본어) |
궁녀 | 기노 이에코(紀家子|기노 이에코일본어) | 미노노 쓰보네(美濃局|미노노 쓰보네일본어), 기노 미쓰키요(紀光清|기노 미쓰키요일본어)의 딸 |
제6황자 | 도케이 법친왕 (道恵法親王|도케이 법친왕일본어) | 1132년-1168년, 출가하여 승려가 됨. |
제7황자 | 가쿠카이 법친왕 (覚快法親王|가쿠카이 법친왕일본어) | 1134년-1181년, 출가하여 승려가 됨. |
황녀 | 아야노고젠 (阿夜御前|아야노고젠일본어) | ?-1195년 |
궁녀 | 산조노 쓰보네(三条局|산조노 쓰보네일본어) | 후지와라노 이에마사(藤原家政|후지와라노 이에마사일본어)의 딸 |
제6황녀 | 겐시 내친왕(妍子内親王|겐시 내친왕일본어) | 이세 신궁의 사이오 |
궁녀 | 카스가노츠보네 | 후지와라노 사네요시의 딸 |
황녀 | 쇼시 내친왕 (이츠츠지 사이인) | 1145년 - 1208년, 카모 사이인 |
궁녀 | 타치바나노 토시츠나의 딸 | |
황자 | 마요(真誉) | |
궁녀 | 토사노츠보네 | 미나모토노 미츠야스의 딸 |
궁녀 | 후지와라노 사네히라의 딸 | |
황녀 | 타카마츠노미야 | |
생모미상 | ||
황자 | 사이츄 법친왕 | |
황자 | 미치하테 친왕 |
4. 인물
1103년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후지와라노 이시(藤原苡子)이다.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태자가 되었다. 모후 후지와라노 사네코가 일찍 사망하자 조부인 시라카와 법황 손에서 자랐다.[4][5]
도바 천황은 세 명의 황후와 여러 명의 궁녀를 두었으며, 슬하에 14명의 황자와 황녀를 두었다.[6]
배우자 | 자녀 | 비고 |
---|---|---|
다이켄몬인 후지와라노 쇼시/다마코(藤原璋子) | 후지와라노 기미자네(藤原公実)의 장녀 | |
가야노인 후지와라노 다이시/야스코(藤原泰子) | 없음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藤原忠実)의 장녀 |
비후쿠몬인 후지와라노 도쿠시/나리코(藤原得子) | 후지와라노 나가자네(藤原長実)의 딸[7] | |
미노노 쓰보네(美濃局) 기노 이에코(紀家子) | 기노 미쓰키요(紀光清)의 딸 | |
산조노 쓰보네(三条局) | 후지와라노 이에마사(藤原家政)의 딸 | |
가스가노쓰보네 | 후지와라노 사네요시의 딸 | |
다치바나노 도시쓰나(橘俊綱)의 딸 | ||
미나모토노 미쓰야스(源光保)의 딸, 토사노츠보네 | 없음 | |
후지와라노 사네히라의 딸 | ||
생모 미상 |
아버지 호리카와 천황과 더불어 피리의 명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양위 후 스토쿠 천황이 조근행행에 방문했을 때 직접 피리를 연주하여 환대했다.[18] 또한, 사이바라와 로에이에도 능했으며, 덴에이 3년(1112년) 시라카와 법황의 60세 어가 때 직접 사이바라를 선보였다.[19]
5. 가계
待賢門院일본어 후지와라노 다마코(후지와라노 기미자네의 장녀)
- 제1황자 : 顕仁親王일본어 - 스토쿠 천황
- 제1황녀 : 禧子内親王일본어 (1122년-1133년)
- 제2황자 : 通仁親王일본어 (1124년-1129년)
- 제3황자 : 君仁親王일본어 (1125년-1143년)
- 제2황녀 : 統子内親王일본어 (1126년-1189년) - 조사이몬인(上西門院일본어)
- 제4황자 : 雅仁親王일본어 (1127년-1192년) - 고시라카와 천황
- 제5황자 : 本仁親王일본어 (1129년-1169년) - 출가하여 覚性法親王일본어
高陽院일본어 후지와라노 다이시/야스코(후지와라노 다다자네의 장녀)
美福門院일본어 후지와라노 도쿠시/나리코(후지와라노 나가자네의 딸)
- 제3황녀 : 叡子内親王일본어(1135년-1148년)
- 제4황녀 : 쇼시/아키코 내친왕 (1137년-1211년) - 八條院일본어
- 제8황자 : 体仁親王일본어 - 고노에 천황
- 제5황녀 : 姝子内親王일본어 - 高松院일본어, 니조 천황의 중궁
美濃局일본어 紀家子일본어(紀光清일본어의 딸)
- 제6황자 : 道恵法親王일본어 (1132년-1168년) - 출가
- 제7황자 : 覚快法親王일본어 (1134년-1181년) - 출가
- 황녀 : 阿夜御前일본어 (?-1195년)
三条局일본어 (藤原家政일본어의 딸)
- 제6황녀 : 妍子内親王일본어 - 이세 신궁의 사이오
春日局일본어 (후지와라노 사네요시의 딸)
- 황녀 : 쇼시 내친왕 (五辻斎院일본어) (1145년 - 1208년) - 賀茂斎院일본어
타치바나노 토시츠나의 딸
- 황자 : 真誉일본어
土佐局일본어 (미나모토노 미츠야스의 딸)
후지와라노 사네히라의 딸
- 황녀 : 高松宮일본어
- 생모 미상
- 황자 : 最忠法親王일본어
- 황자 : 道果親王일본어
도바 천황은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이었으며, 어머니는 藤原苡子일본어였다.[5] 세 명의 황후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고, 14명의 황자와 황녀를 두었다.[6]
6. 도바 천황 재위기의 연호
도바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14]
- 가조 (1106년 ~ 1108년)
- 텐닌 (1108년 ~ 1110년)
- 텐에이 (1110년 ~ 1113년)
- 에이큐 (1113년 ~ 1118년)
- 겐에이 (1118년 ~ 1120년)
- 호안 (1120년 ~ 1124년)
각 연호가 변경된 시점과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가쇼 (嘉承) - 가쇼 2년 7월 19일 (1107년 8월 9일) 선조, 가쇼 3년 8월 3일 (1108년 9월 9일) 즉위에 의해 개원
- 덴닌 (天仁) - 덴닌 3년 7월 13일 (1110년 7월 31일) 혜성 출현에 의해 덴에이로 개원
- 덴에이 (天永) - 덴에이 4년 7월 13일 (1113년 8월 25일) 천변·괴이·역병·전란에 의해 에이큐로 개원
- 에이큐 (永久) - 에이큐 6년 4월 3일 (1118년 4월 25일) 천변·역병에 의해 겐에이로 개원
- 겐에이 (元永) - 겐에이 3년 4월 10일 (1120년 5월 9일) 어액운어신(御厄運御慎)에 의해 호안으로 개원
- 호안 (保安) - 호안 4년 1월 28일 (1123년 2월 25일) 양위
7. 사후
메이지(明治) 이후 '인'이라는 호칭은 폐지되고 '''도바 천황'''이라고만 불렀다.[20]
능(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교토시후시미구 다케다 정정보제원 정에 있는 '''안락수원릉'''(안라쿠지인노미사사기)으로 지정되어 있다.[21] 궁내청상의 형식은 방형당이다.
생전인 호엔 5년(1139년)에 도바 안라쿠주인 경내에 삼중탑(본어탑)을 수릉으로 짓고, 붕어 후 유언에 따라 유해를 이 탑 아래에 안치했다. 그 후 본어탑은 소실되었고, 게이초 17년(1612년)에 가당이 세워졌지만, 소전이 혼란해져 고노에 천황릉(현 안락수원 남릉)이 도바 천황릉으로 오인되는 시대가 겐로쿠 이후 막말까지 이어졌다. 겐지 원년(1864년) 수릉에 맞춰 전각(법화당)도 다시 세워져 정식으로 도바 천황릉으로 수정되어 현릉으로 지정되었다.
도바 법황은 큐안 4년(1148년)경 후지와라노 도쿠시(미후쿠몬인)의 묘소로 삼중탑(신어탑)을 짓고, 도쿠시 사후 유해를 안치하도록 유언했지만, 도쿠시는 신어탑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하고 유언대로 화장되어 유골은 고야산에 안치되었다. 이후 신어탑에는 고노에 천황의 유골이 안치되었다.
황거에서는 궁중 삼전 중 하나인 황령전에서 다른 역대 천황, 황족과 함께 도바 천황의 영이 제사 지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Kunaichō): 鳥羽天皇 (74)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서적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7]
서적
The Tale of the Heike
1975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https://books.google[...]
[13]
서적
[14]
서적
https://books.google[...]
[15]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6]
논문
鳥羽院政期の王家と皇位継承
2012
[17]
서적
日本中世国制史論
吉川弘文館
2018
[18]
문서
朝覲行幸では子である天皇が父である院に対する孝養の一環として楽器を演奏するのが通例であった。
[19]
논문
平安時代における天皇と音楽
2004
[20]
문서
兵範記
1156-07-11
[21]
웹사이트
天皇陵
https://www.kunaicho[...]
宮内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